반응형 자동차의 모든 것32 애플의 트렌드 코드 성장 과정 애플의 트랜드 코드 1977년 스티브 잡스와 스티브 워즈니악은 처음에 회로기판을 애플1이라는 명칭으로 판매하면서 애플을 창업하게 되었다. 당시 그들이 직접 제작한 회로기판은 당시 컴퓨터 업계에서 큰 관심을 받지 못했지만 잡다한 기능을 빼고 설치 없이 곧바로 작동하는 애플2를 출시하면서 세간의 관심을 받게 된다. 당시 애플2는 최초의 컬러 디스플레이에 내장 스피커를 갖추었으며 문서 작성 뿐만 아니라 교육 혹은 게임용으로도 사용 할 수 있어 학교에서도 많은 인기를 끌었다. 애플2의 성공은 애플이 공식적으로 주식을 상장하며 큰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발판을 마련해 주었으며 그들의 성공은 지속될 것처럼 보였다. 애플2가 다른 컴퓨터 제품과 다르게 당시 컴퓨터 업계의 트렌드를 이끌 수 있었던 이유는 바로 “플로피 디.. 2019. 2. 12. 스타트업, 미래의 성장동력 스타트업_미래의 새로운 성장동력 지금은 세계 어디서라도 미래의 불경기와 어려운 상황을 토로한다. 경제는 저성장으로 성장의 속도가 느려지게 되었고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자동화가 대중화되면서 많은 일자리가 사라짐과 동시에 새로운 직업들이 탄생하고 있다. 또한 해외 직구를 통한 상품 구매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국내의 값비싼 제품을 저렴한 가격대로 해외에서 직구로 구입하여 조금이라도 돈을 아끼고자 하는 사람들의 심리가 적용되어 규모가 기하급수로 커진 것이다. 실제 편의점이 증가함에도 불구하고 편의점 매장당 매출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는데 이는 주머니가 가벼워진 사람들이 편의점의 PB 상품을 통해 식사를 해결하고 꼭 필요한 생필품만을 구입하면서 생긴 결과다. 이와 같이 조금이라도 저렴한 가격에 제품.. 2019. 2. 10. 브랜딩 불변의 법칙 무한경쟁 시대, 개인이든 기업이든 브랜딩이 필요하다 브랜드 구축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정체성에 대한 정의이다. 대내외적으로 비춰지는 정체성이 약한 브랜드는 결국 그저그런 기억만을 남겨주는 기업으로 남게되지만 강력한 정체성을 지닌 기업은 제품이 아닌 공감대를 판매함으로써 지속적인 수익을 창출해낼 수 있다. 애플은 맥킨토시를 런칭 할 당 시 IBM이라는 거대 기업이 세상을 독점하려는 악당으로 컨셉화하고 맥킨토시가 이를 구제하는 역할을 하는 천사의 이미지를 그려 확실하게 브랜딩하는데 성공 할 수 있었다. 미래를 이끄는 인재는 이젠 천재가 아닌 괴짜이며 권력을 창의력이 인수하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한다. 실제 기업의 성공여부도 결국 창의력을 어떻게 발휘해서 제품에 녹여내고 고객이 선택하게 만드는지에 따라 결.. 2019. 2. 7. 성숙의 시대, 제대로 알아보자 성숙의 시대, 저성장을 넘어 공유의 가치로 성숙의 시대, 지금은 어떻게 보면 그 시점의 싹이 트는 시기라 할 수 있겠다. 사람이 성장해서 성숙의 인격을 갖추듯이 사회 또한 성장을 넘어 성숙의 시대에 접어들게 되어있다. 성숙의 시대는 우리에게 기쁨과 슬픔을 동시에 줄 것으로 보인다. 우선 성숙의 시대는 저성장과 침체기를 낳고 이는 결국 불경기와 느린 성장의 속도를 나타낸다. 그럼으로써 일자리는 줄 것이며 기업들은 긴축경영에 돌입하게 될 것이다. 성숙의 시대, 어떻게 보면 매서운 바람을 불고 오는 하나의 시기일 수도 있다. 기존 전통적인 방식의 제조업은 유형의 자원들을 활용하여 무언가를 새롭게 만들고 기능을 추가하는데 기여했다고 한다면 성숙의 시대에서는 무형의 자원을 더 많이 활용함으로써 작으면서도 다재다능.. 2019. 2. 6. 인재 트렌드-T자형 인재에서 X자형 인재로 새로운 인재 트렌드, T자형 인재 그리고 X자형 인재의 부상 인생을 바꿀 수 있는 단 하나의 키워드를 선택하라고 한다면 당연 “삶의 태도"이다. 삶을 긍정적인 태도로 사는 사람과 부정적인 태도로 살아가는 사람들 간에 나타나는 행복과 성취감 차이는 하늘과 땅 차이듯이 결국 어떤 태도를 가지고 살아가느냐에 따라 미래가 달라진다. 고등학교를 졸업하고 바로 사회전선으로 뛰어드는 청년들은 아직 준비가 덜 된 상태에서 지금 것 겪어보지 못한 세계로 나아가게 된다. 학교 안에서의 생활과 밖에서의 생활은 극과 극이다. 돈을 내고 다니는 곳을 벗어나 돈을 받으며 다니는 곳으로 가게 되면 그동안 자신에게 존재하지 않던 책임과 의무라는 것이 생겨버리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등학교를 졸업 후 대학교에 간 청년들은 사회에 나가.. 2019. 2. 4. 이전 1 2 3 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