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생활 정보 꿀팁30

창의적 사고로 생존법칙을 배우자 생각의 새로운 규칙을 배워야 할 때 한국은 자원과 인력의 부족으로 인해 지식체계의 발전을 거듭해 왔고 이는 높은 교육열을 초래했다. 한국 대부분의 인력은 높은 교육수준과 상당한 스펙을 지니고 있는게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가 직시해야 될 사실은 높은 교육수준은 더 이상 사회에서 안전을 보장해 주지 않는다는 것이다. 현재 전 세계에서 추구하고 있는 패러다임은 창조경제다. 하필 왜 창조경제일까?? 기존의 방식으로는 수요를 창출하는데 한계가 있고 무형의 가치가 곧 재산이 되기 때문이다. 이젠 눈에 보이지 않는 가치가 곧 핵심자산이 될 것이며 고객의 감성을 자극하는 소비가 주를 이룰 것이다. ​창조경제는 혁신적인 아이디어의 Input 그리고 이들의 사업화를 통한 Output 창출 구조를 기본전제로 하고 있다. 창.. 2020. 3. 7.
스타트업을 넘어 퍼스널잡으로 B2C가 C2C로 넘어가는 시대 우리의 미래 그리고 퍼스널잡의 도약 지금 우린 직장에서 일을 하고 보수를 받고 생활을 하며 라이프를 살아간다. 그렇게 업을 쌓고 커리어를 축적하며 앞서 걸어가는 것이다. 이건 우리의 일상이며 삶의 한 부분이다. 그렇다면 그 외 다른 삶 혹은 미래에 다가올 모습은 어떨까? 지금은 스타트업 전성시대라 할 만큼 무수히 많은 스타트업이 생겼다 사라지고 성공하고 실패하며 치열한 경쟁을 벌이고 있다. 그 영향으로 시장은 더 커지고 있고 상품과 서비스의 질이 점점 더 좋아지고 있는 건 분명 사실이다. 경쟁이 치열 할 수록 고객에게 제공해야 할 혜택이 커지기 때문에 소비 시장을 키우는 영향을 주기도 한다. 그리고 지금 우린 새로운 시대를 맞이할 준비를 할 필요가 있다. 물론 스타트업의 .. 2019. 6. 30.
관점 생산자, 디자이너의 미래 실외 혹은 실내의 건축물이나 공간들을 디자인 하는 사람을 우리는 디스플레이 디자이너라고 부른다. 이들은 강조되어야 할 제품들을 돋보이게 하기 위해 부수적인 오브제들을 적절히 배치하며 작업을 하기도 한다. 흔히 디자인의 역할이 사물과 사물 간 관계를 형성하는 것이라 말하는데 이는 균형, 대비, 강조 등 무수히 많은 기법으로 관계를 생산해 낼 수 있다는 말이기도 하다. 대칭적 균형은 안정적이지만 개성 없는 연출을 보여주며 입체적 대비는 평면적인 사물 오브제와 대비를 이루도록 만들기도 한다. 디자이너에게는 한 가지 숙명이 있는데 자신의 작품으로 사람들의 반응과 행동을 이끌어야 하는 것이다. 제품 판매업자는 디자이너가 자사의 제품을 멋지게 디자인해 구매를 유발할 수 있기를 바라며 건축가는 디자이너가 사람들이 선.. 2019. 6. 4.
반응형